본문 바로가기
건강,교육

수시 원서 접수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것들

by kuchiwuchi 2023. 8. 17.
반응형

수시 원서 접수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것들

 

1. 내신 점검

내신산출을 해보기
     ( 내신산출 방법 = 단위수를 곱하고 평균을 내기 )
학종은 무조건 전과목을 봐야 한다.
    (학종은 정성평가가 들어가는데 정성평가라 함은 전체 과목이나 특정 과목의  상향이냐 하향이냐 를 봄)
교과는 학교별로 다르니 확인해야 한다.
    (각 학교 홈페이지에서 입시요강을 찾아 산출방법에 따라 확인)

2. 생기부 점검

생기부는 어떻게 기록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한 가지 활동을 하더라도 세탁에도 넣고 비교과에도 넣고 생기부에도 넣을 수 있으니  분산을 해 보도록 한다.
선생님에게 요청을 하고 자신이 부족한 부분에 대한 상담과 더 적어 넣을 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않는다.
반드시 마지막에 직접 확인을 해야 한다. 실수나 누락이 생길 수 있으니 본인 것을 챙기자

3. 지원 점검

"대학 어디가" 사이트에 들어가서 내 지원선 확인하기
대학 어디가 사이트 보는 팁
- 학종 컷이 낮은 대학은 학교 때문이다. 특목고나 일반고로 구별되기 때문에 주의한다.
- 교과 컷이 낮은 대학은 올해 올라간다.
- 최저가 낮아지면 올라간다
- 인원이 줄어들면 올라간다.
- 모든 조건이 동일하다면 교과는 어디 가만 보고 지원을 해 볼만하다.
어딘가를 보고 내 지원선 확인하기
내신 대비 모의고사 지원 가능선을 파악하자
모의고사 성적이 들쭉날쭉이면 다음 원칙을 지키자
- 세 모의고사 3합 평균을 낸다
- 모의고사 상승세면 1을 빼고 하락세이면 1을 더한다
- 비정상적인 등급이라면 나머지 2개 모의고사 평균을 낸다
- 사과탐이 뛰어나면 1을 빼고 떨어지면 1을 더한다. 사과탐 준비가 다 끝나지 않았으면 산정하지 않는다.
자신의 상황에 맞게 예측 수능 점수를 산정해놓고 지원 학교를 찾아보자
배치 상담받아보기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배치 상담을 받지 않아도 된다
자신이 가고 싶은 학교를 정하고 상담을 하자 (어느 정도의 학교, 어느 과)
학종은 학교 선생님과 하는 것이 제일 좋다
질문지를 미리 챙기고 상담받자

4. 수시 지원 방법

상향지원방법
교과전형인 경우
교과는 상향을 하지 말고 안정지원 쪽으로 가자. 최저가 높아진 학과라면 상향해도 된다.
추천 전형은 학과 변경이 가능한지 확인하자.
논술전형인 경우
무조건 상향지원을 한다. 최저가 되는지 확인해야 하고 최저가 높은 곳을 상향하라
같은 실력이라면 경희대보다 성균관대가 논술로 합격할 확률이 훨씬 높다.
학종 전형인 경우
최저 높은 곳으로 상향 지원하라
면접 있는 곳을 상향 지원하라
최저 낮은 곳은 학교를 봐야 한다. 고등학교를 어디를 주로 뽑는지를 확인해봐야 한다.

무조건 안정지향 원서는 있어야 한다. 최저에 대한 낭만적 상상은 금물. 최저 변동을 확인하고 상향과 하향이 정해졌다면 무조건 첫날 넣어라. 적정은 무조건 마지막 날 경쟁률을 보며 넣는다.

 

5. 수시 대비 방법

수능 
최저 맞추기 돌입해야 한다
자신이 등급을 올릴 수 있는 과목과 불가능한 과목을 잘 선정해서 최저를 맞추는 조합을 짜서 계획한다.

면접
서연고는 제시문, 그 외는 대부분 생기부 면접이다
1단계가 통과되어야 면접 기회도 있다. 그러니 상향 지원한 대학의 면접은 미리 고민하지 마라
제시문 면접은 면접이 아니다. 시험과목이 추가되었다고 생각하라. 문제풀이를 잘하면 통과되는 것이 제시문 면접
생기부 면접은 모의면접을 통해 준비하면 좋다. 자신의 생기부에 적혀 있는 것을 미리 암기하고 준비하고 가면 된다
의대 면접은 수능부터 준비하고, 시간 나면 생기부 면접 정도만 준비한다.

논술
논술은 진짜 논술이 아니라 수능을 잘 봐서 가는 시험이다
학교에 맞는 유형들을 살펴야 한다. 
늦어도 여름방학에는 시작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