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시장을 분석하는 수단에는 기본적 분석과 기술적 분석이 있다. 기술적 분석가는 그래프를 보고 기본적 분석가는 기업의 재무제표를 본다. 그중 기술적인 분석가들이 가장 신뢰하는 보조지표를 고르라면 볼린전 밴드를 꼽을 수 있다.
볼린저 밴드는 어떤 원리로 만들어졌으며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 공부해보고자 한다.
볼린저 밴드란
볼린저 밴드는 1980년대 초반 존 볼린저(john bollinger)라는 투자전문가가 고안해 낸 지표이다. 주가의 변동이 표준 정규분포 함수에 따른다고 가정하고 주가를 따라 위아래로 폭이 가티 움직이는 밴드를 만들어 주가를 그 밴드 속 기준선으로 판단하고자 고안된 지표를 말한다. 주식의 변동성 자체가 가변적이고, 일정하지 않다는 시장 상황에서 적합한 매매 범위를 찾기 위해 만들어졌다고 공식 홈페이지에서 설명하고 있다. 그래프의 모양과 추세를 보고 투자 여부를 결정하는데 참고한다는 점에서 볼린저밴드는 기술적인 분석의 대표적인 지표로 평가된다.
볼린저 밴드의 구성
볼린저밴드는 주가가 상한선과 하한선을 경계로 등락을 거듭하는 경향이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그래서 주식 가격의 움직임을 포착할 수 있도록 중간의 이동평균선과 상단 밴드, 하단 밴드로 구성된다. 이동평균선을 추세 중심선으로 사용하며 상, 하한 변동 포근 추세 중심선의 표준편차로 계산한다. 볼린저밴드는 일정 기간 가격에 대한 변동성 측정치이므로 가격 변동이 심할 때에는 변동 폭이 좁아지는 자기 조정 기능을 발휘하기도 한다. 즉 너무 폭이 넓어지면 다시 좁혀지려는 성질을 갖는 것이다.
볼린저밴드의 구성 <출처: http://www.bollingerbands.com>
주가는 일정한 기간 동안 과매수나 과매도 상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가격이 높거나 낮은 지를 알면 매도와 매수시기를 가늠할 적기를 선별하는데 도움이 된다. 볼린저 밴드는 여기에 주가의 상대적인 가격 수준과 변동성을 확인할 수 있고, 가격 움직임이나 기타 지표들과 결합해 신호를 만들고 움직임을 예측하는 데도 도움을 준다.
볼린저 밴드를 활용하는 법
존 볼린저는 볼린저밴드를 활용한 핵심적인 투자기법 세 가지를 공개한 바 있다
첫 번째 투자기법은 밴드 자체의 폭이 수축하거나, 확장하는 변동성을 활용하는 것이다. 존 볼린저는 밴드 자체의 폭이 축소되면서 밀집구간을 거친 후에는 상단 밴드를 돌파할 때 매수시점, 하단 밴드에서 하향 이탈할 때를 매도시점이라고 보았다.
두 번째 투자기법은 상단, 하단 밴드와 지표를 활용하는 추세 추종 기법이다. 주가가 상단 밴드에 접근할 때 각종 지표들이 주가의 강세를 보여주면 매수하고 주가가 하단 밴드에 접근할 때 지표가 주가의 약세를 보이면 매도하는 방법이다.
세 번째 방법은 반전 기법으로 복수의 밴드 접촉과 지표를 활용하는 법이다. 주가가 상단 밴드를 여러 번 건드리는 반면 주가지표는 점진적 약세를 보일 때 그리고 주가가 하단 밴드를 여러 번 건드리는 반면 지표는 점진적 강세를 보일 때 주가 흐름의 반전을 예측할 수 있다. 세 번째 방법에서의 다른 지표는 이른바 구름 떼라고 불리는 일목균형표를 많이 이용한다.
볼린저밴드는 중심선인 20일 이동평균선과 중심선에서 표준편차 x2를 더하고 뺀 상한선, 하한선으로 구성되는데 좀 더 길게 보는 투자자라면 중심선을 40 정도로 잡아도 될 것이다. 20으로 잡으면 변동성이 작아 10% 정도의 수익을 기대할 수 있고 40을 중심선으로 잡으면 25~30% 정도의 수익도 기대해 볼 수 있다.
볼린저밴드에 대한 생각
볼린저밴드 또한 보조지표이므로 후행일 수밖에 없다. 즉 주가가 다 형성되고 나서야 그려지는 지표라는 것이다. 그러니 맹신할 수는 없다. 다만 주가가 볼린저밴드의 상한선을 뚫고 올라가면 주가가 급등하는 신호로 볼 수 있고, 하한선을 뚫고 내려가면 급락하는 신호로 볼 수 있다. 볼린저밴드는 주가라는 자동차가 다니는 도로와도 같은 것이라고 생각하고 그 도로를 벗어나느냐 마느냐로 방향을 가늠해 보는 것이다. 길을 벗어날 확률이 100개 중 3,4개 정도라고 하니 믿을만한 수치인듯하다. 전체적으로 엔빌로프 지표와 비슷한 듯한데 볼린저밴드가 더 탄력성이 있는 것 같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