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주식을 시작했을 때 난 주식 거래시간조차도 모르고 있는 주식 무식자였다. 그래서 주식 거래 시간이 3시 30분이면 끝난다는 말을 듣고서 완전 빨리 끝나네 하고 생각했다. 나처럼 주식은 정규시간에만 매수 매도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을 것 같아서 주식 거래시간과 종류에 대해 정리해 보고자 한다.
주식 거래 시간과 종류
1. 정규 시간 거래
2. 장전/장후 동시호가 거래
3. 장전/장후 시간 외 종가 거래
4. 시간 외 단일가 거래
1. 주식 거래 시간 : 정규 시간 거래
정규시장 (일반거래)
- 거래시간 : 09:00 ~ 15:30
- 주문의 종류 : 지정가(보통) , 시장가, 최유리 지정가, 최우선 지정가, IOC/FOK조건, 조건부지정가
- 가격제한폭 : +-30% (상한가, 하한가)
정규시장은 우선 일반적으로 거래를 하는 오전 9시부터 오후 3시 30분까지를 의미한다. 보통 9시부터 10시 30분까지가 거래가 가장 활발히 일어나고 점심시간 때는 보합을 유지하다가 다시 2시부터 3시 20분까지 매매가 활발히 이루어진다.
왜 3시 20분이냐 하면 나머지 10분 동안은 시간 외 거래가 이루어지는 시간이다. 이는 밑에서 설명하겠다.
초보자들은 흔히 정규시장 거래시간 내내 호가창을 쳐다보게 되기 일쑤인데 오전 10시 30분까지만 매매를 하고 나머지 시간은 매매를 쉬고 공부하는 시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리나라 국내 주식시장의 개장과 마감이 다른 날이 두 경우가 있다. 먼저 새해 첫날인 1월 1일에는 오전 10시에 시작하여 15시 30분에 마감된다. 또한 대학 수학능력시험인 수능일에는 오전 10시에 시작하고 4시 30분에 마감한다. 국가 공휴일에는 물론 휴장 한다.
2. 주식 거래 시간 : 장전/장후 동시호가 거래
장전 동시호가 거래 : 08:30 ~ 09:00
당일 시가(시작가)가 결정되는 시간이다 어떤 사람은 10,000원에 사고 싶어 하고 또 어떤 사람은 9,000원에 사고 싶어 할 것이다. 개인마다 원하는 가격이 다르기 때문에 30분간 거래된 가격을 취합하여 9시에 하나의 가격으로 체결한다. 9시에 체결된 가격이 그날의 시가가 된다. 장전 동시호가 거래 시간에는 증권사에서 반대매매를 던지는데 가끔 동시호가 40분에 하한가를 가는 종목을 보게 되는데 개인의 물량이 반대매매로 매도되는 것이다.
장후 동시호가 거래 : 15:20 ~ 15:30
장전 동시호가 거래와 마찬가지로 그날의 종가가 결정되는 시간이 장후 동시호가 거래이다. 장 마감전 10분 동안 거래를 하려는 사람들의 호가가 활발하게 이동하며 최종 마감 가격은 10분 뒤 거래가 마감되고 나서 결정된다. 10분 동안 매수가 바로 체결되는 게 아니라 주문만 넣고 파는 사람이 있게 되면 30분 정각에 체결된다. 마감 호가창을 보면 가끔 크게 변동될 때가 있는데 누군가 동시호가에 팔아버릴 때도 있고 갑자기 매수세가 들어와 주가가 상승할 때도 있다. 세력이 관리하는 종목인지 아닌지 종가를 보면 파악할 수 있다고 한다.
3. 주식 거래 시간 : 시간 외 종가 거래
시간 외 종가 거래 : 08:30 ~ 08:40, 15:40 ~ 16:00
장전 시간 외 종가 거래는 말 그대로 정규장 시작 전에 하는 거래다. 정규장 시작 전인 오전 8시 30분부터 8시 40분까지 10분간 진행되는데 거래 가격은 전일 종가로 고정되어 있다. 그런데 그 가격에 팔겠다는 사람이 있어야 체결된다. 보통 장전에 매도 물량이 없는 경우는 전날 호재가 나와서 다들 사려고만하고 팔려는 사람이 없는 경우이다.
정규시장이 마무리된 후 시작되는 장후 시간 외 거래는 오후 3시 40분부터 4시까지 20분간 진행된다. 당일 종가를 기준으로 거래할 수 있으며 종가는 고정되어 있으니 수량만 선택해서 거래할 수 있다.
4. 주식 거래 시간 : 시간 외 단일가 거래
시간 외 단일가 거래 : 16:00 ~ 18:00
시간 외 단일가 거래는 당일 종가 가격의 +10% ~ -10% 범위 내에서 거래가 되며 10분 단위로 저녁 6시부터 8시까지 2시간 동안 총 12번 체결이 된다. 동시호가 거래와 마찬가지로 여러 투자자들의 주문을 모아서 한 번에 처리하는 방식을 원칙으로 두고 있다. 이때 상한가나 하한가를 간다는 건 회사에 큰 호재가 있거나 악재가 있을 때이다.
기업들이 장 중 주가 흐름에 큰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장을 마감하고 실적이나 기타 공시사항 등을 발표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단일가 매매로 거래를 할 수 있다. 기업과 기업 간에 블록딜(BLOCK DEAL)이 이루어지는 것도 이때이다. 블럭딜은 장 시작 전후에 매도자와 매수자 사이의 대량 주식 거래를 말하는데 대량의 주식이 거래되면 발생할 수 있는 주가 급등락을 막기 위한 것이어서 주로 시장 가격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기관끼리나 기업끼리 이루어진다.
마치며
이상 주식 거래 시간과 종류에 대한 포스팅을 마친다. 오늘 정리한 주식 거래 시간표로 정리를 해 두겠다.
구 분 | 시 간 |
정규 거래 | 09:00~15:30 |
동시 호가 거래 | 08:30~09:00 / 15:20~15:30 |
장전 시간외 종가 거래 | 08:30~08:40 ( 전일 종가로 거래 ) |
장후 시간외 종가 거래 | 15:30~16:00 ( 당일 종가로 거래 ) |
시간외 단일가 거래 | 16:00~18:0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