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주식, 재테크

금리의 의미와 종류를 정리해봅니다

by kuchiwuchi 2023. 5. 19.
반응형

요새 경제 쪽에서 가장 화두가 되는 단어는 금리일 것입니다. 금리인상은 불가피할 거라는 걸 모두들 알고 있지요? 그런데 금리란 무엇일까요?    다들 알고는 있지만 막상 설명하려니 어려운 경제용어!    금리!

오늘은 금리란 무엇이며 어떻게 구분되는지 알아볼게요.

 

금리의 의미와 종류

 

금리란

금리란 빌려준 돈이나 예금에 붙는 이자 또는 이자율을 말합니다

돈을 빌리고 나서 일정기간 동안 빌린 돈에 대한 사용료를 내는 셈인데  지불하게 되는 돈이 "이자"인 것이고 원금에 대해 얼마의 비율로 이자를 지불했는지 계산하는 게 "금리"입니다.

 

금리는 어떤 때 변동되는 건가요?

첫 번째로는  현재의 소비량이 미래의 소비량보다 많을 때 즉 수요가 증가하면 돈이 귀해지고 금리가 올라가게 됩니다

두 번째로는 물가가 오를 것이라 예상되면 모두들 물가가 오르기 전에 저렴한 가격으로 사길 원하게 되면서 금리도 같이 오르게 됩니다

 

세 번째, 원금 회수에 대한 위험이 크면 높은 금리가 적용되게 됩니다. 돈을 빌려주고 못 받을 위험 부담이 커지면 그만큼 금리가 올라가게 되지요. 신용도가 높은 사람보다 신용도가 낮은 사람이 높은 금리로 돈을 빌리게 되는 것과 같습니다.

네 번째, 어떤 자본에 투자하려는 심리가 높을 때도 금리가 변동이 심해집니다. 우리나라는 부동산 투자 쪽이 그래서 금리와 밀접한 연관이 생깁니다.

 

금리의 종류는 어떻게 나눠지나요?

1. 금리를 정하는 대상에 따른 분류

1) 기준금리 : 한국은행이 결정하는 금리로 우리나라의 모든 금리의 기준이 됩니다

2) 시중금리 : 중앙은행 및 정부 금융기관을 제외한 민간금융기관이 적용하는 예금금리, 대출금리, 민간금융 간 상호거래에서 형성되는 모든 금리를 일컫습니다. 

 

2. 돈을 빌려주는 기간에 따른 분류

1) 단기금리 : 1년 미만인 금융상품으로 단기금융시장(화폐시장)에서 쓰는 콜시장, CD금리, CP금리가 있습니다

2) 장기금리 : 3년 이상의 금융상품으로 장기자금조달용인 사채, 공채, 금융채 등이 있습니다

3) 중기금리 : 1~3년 금융상품에 적용되는 금리입니다

 

3. 돈의 가치 고려 여부에 따른 분류

1) 명목금리 : 돈의 가치가 변하는 시장을 반영하지 않는 금리로 은행 등의 1년 예금, 적금상품 등이 있습니다

2) 실질금리 : 물가상승률을 반영한 금리로 명목금리에서 물가상승률을 빼면 실질금리가 됩니다

 

4. 금리가 변하는지에 따른 분류

1) 고정금리 : 금리가 변하지 않고 고정적인 것을 말합니다. 대출을 받을 때 앞으로 금리가 오를 것이라고 예상된다면 고정금리로 돈을 빌리는 것이 유리합니다만 보통 변동금리보다 높게 책정됩니다.

2) 변동금리 : 금리가 기간에 따라 변하는 것을 말하는데 짧은 기간 2~3년 빌리는 것은 고정금리보다 변동금리가 유리한 편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