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주식, 재테크

주식에서 시가총액은 왜 봐야 하는걸까요?

by kuchiwuchi 2023. 5. 9.
반응형

주식을 하면서 시가총액이란 단어를 많이 접하게 된다. 줄여서 시총 시총 하는데 우리나라 시총이 1위인 기업이 누구인지는 전 국민이 다 알고 있듯이 삼성전자이다. 알긴 아는데 시총이 무엇이며 왜 시총을 봐야 하는지는 모르겠어서 공부해볼까 한다.

 

시가총액 이란?

시가총액의 사전적 의미는 시장에 상장된 모든 주식을 시가로 평가한 금액을 말한다. 그날 장 마감의 가격을 "시가"라고 하며 발행한 총 주식수와 시가를 곱하게 되면 이것이 "시가총액"이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가총액을 시총이라고 표현하고 시총이 높을수록 기업의 규모가 크다고 판단하며 주가의 움직임도 느린 편이다. 하지만 매출액도 적고 부실한 부분이 많은 기업의 시총이 높다면 고평가 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고 주가가 큰 폭으로 하락하기도 한다.

 

시가총액 계산 방법

총 주식수  x  시가 (장 마감 가격)

예를 들어 특정 기업의 주식이 10,000주 시장에 상장되어 있고 장 마감의 가격이 1,000원이라고 가정하면 시가총액은 10,000,000원이 되는 것이다

 

시가총액은 hts나 mts에 적시되기 때문에 굳이 계산할 필요는 없으나 아래의 그림처럼 투자 정보란에서 시가총액을 확인할 수 있다. 시가총액뿐만 아니라 시가총액 순위, 상장주식수, 외국인 보유주식수 등도 확인할 수 있다

 

삼성전자의 시가총액 보기
삼성전자 시가총액

출처 = 네이버 금융에서 삼성전자 검색

 

결국 시가총액으로 우리는 주식시장에서 그 종목이 어느 정도의 규모를 가지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는 것이다, 주가가 높을수록 시가총액은 늘어날 것이고 시가총액이 클수록 기업의 규모는 크다고 할 수 있다

 

시가총액은 우량주 또는 가치투자를 할 때 중요시 여긴다. 아무래도 시가총액이 낮은 기업에 투자를 하게 되면 변동폭이 크고 안정적인 투자를 원하는 사람에겐 적합하지 않은 종목일 수 있다.

 

단기 투자를 하거나 스윙 투자를 하는 사람들은 시가총액이 일정 금액 이상이면 투자를 하는 경향이 있고 그다지 신경을 쓰지 않지만 장기투자와 기업의 실적으로 투자를 하는 가치투자자에겐 시가총액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삼성전자의 시총이 많이 내려가고 있지만 그다지 걱정은 되지 않는 이유가 시총 대비 삼성전자는 지금 저평가되어 있다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