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주식, 재테크

초보자가 알아두면 좋을 재무제표 용어 정리/BPS,PBR,PER,EPS,ROE,PSR

by kuchiwuchi 2023. 2. 14.
반응형

주식을 하면서 재무제표를 봐두어야 한다는 얘기는 많이 듣지만 사실 재무제표를 봐도 그 숫자들이 무얼 의미하는지를 파악하지 못한다면 그저 종이에 적힌 숫자에 불과할 것이다.  주식초보라면 꼭 봐야 할 재무제표 용어 정리와 어떻게 파악해야 하는지 간략히 정리를 해 보고자 한다.

 

재무제표 의미

 

재무제표는 기업이나 회사의 재무에 관련된 표이다. 정해진 회계기준에 따라 재무보고를 할 때 제출하는 종합보고서가 바로 재무제표인 것이다. 재무제표에는 재무상대표, 손익계산서, 자본변동표, 현금흐름표등이 있다.

 

첫번째 재무상태표는 기업의 자산과 부채 그리고 자본이 표기가 되어 있다. 기업의 현재 재무상태를 나타내는 표로 기업의 경제상황을 나타내는 가장 기본적인 표이다.

 

두 번째 손익계산서는 매출액과 영업이익 그리고 당기순이익이 있다. 기업의 해당 기간에 따른 수익과 비용을 알 수 있는 표이다.

 

세 번째 자본변동표에는 기초자본, 기말자본, 총 포괄손익, 배당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자본이 어떻게 변동이 되었는지에 대해 알 수 있는 재무제표이다.

 

네 번째 현금흐름표는 현금이나 현금성 자산에 대한 내용이다. 영업활동과 투자활동 그리고 재무활동별로 현금의 흐름을 구분하여 현금이 얼마나 들어오고 나갔는지 확인할 수 있다. 만약 기업이 이익은 발생했으나 회사 보유 현금이 없다고 하면 그 회사는 문제가 있다고 보는 것이다.

 

재무제표를 읽기 위한 기초용어

 

재무제표 보는 법이 어렵다고 하는 사람이라면 요즘은 증권사HTS에도 자료가 잘 구비되어 있어서 찾아보기는 예전보다 훨씬 쉬워졌다. 물론 기본 용어들에 대해서는 공부를 해야 한다.

 

BPS  : book-value per share  주당순자산가치

BPS  : book-value per share  주당순자산가치
 BPS가 현 주가보다 높으면 좋다 
 2.5배 이상이 되면 고평가국면으로 본다

 PBR  : price book-value ratio  주가순자산 비

PBR  : price book-value ratio  주가순자산 비
주가순자산비율 =  주가 / 주당순자산
 PBR은 흔히 청산가치라고 불린다 이 회사가 가지고 있는 가치가 청산되었을 때를 1이면  현재 딱 그 정도
수준으로 책정되었다고 보면 되고 1보다 밑이면 저평가되어 있다고 보면 된다
 3배 이상이면 고평가인 걸로 본다             

 PER : price earning ratio  주가 수익비율

 PER : price earning ratio  주가 수익비율
주가 수익비율 = 주가 / 주당순이익
 PER는 낮으면 낮을수록 좋다고 볼 수 있다 회사의 시가총액이 1,000억 원인데 100억 원의 이익을 냈다면 PER               가 10이 되는 것이고, 시가총액이 1,000억 원인데 200억 원의 이익을 냈다면 PER는 5가 된다 둘 중 후자의 회               사가  더 괜찮은 회사라 볼 수 있다 PER는 일반적으로 우리나라 평균이 10~15 정도 되는데, 현재 반도체 회사               들은 10~20 정도이면 게임주들은 40~50, 바이오는 실적이 당장은 없어서 이 PER를 보지 않고 성장성 미래 기             술력을  보는 것이다.              
 10배 이상이면 고평가로 본다

 EPS : earning per share  주당 단기순이익 

 EPS : earning per share  주당 단기순이익 
 1주당 얼마의 이익을 창출하는지 확인할 수 있는 지표이다    
  높은 게 좋음

ROE : return on equity  자기 자본수익률

ROE : return on equity  자기 자본수익률
 내 자본 대비 얼마만큼 수익성을 냈는지 나타내는 지표이다 투입한 자본 대비해서 얼마나 이익을 냈는지 체크              하는 것이다 
 높아야 좋다

 PSR : price sater ratio  주가 매출액 비율

 PSR : price sater ratio  주가 매출액 비율
 매출액은 기업의 이익지표에 비해 그 변동성이 크지 않고 기업의 순수한 영업활동 결과를 나타내는 보다 객관             적인 지표이다
 주당 매출액 비율 = 주가 / 주당 매출액
  낮을수록 좋다

재무제표에서 사람마다 중요시하는 지표는 다르다. 자신의 투자매매방법에 따라서 달라질 것이다. 예를 들어 단기매매를 선호하는 사람이라면 재무제표 상의 세세한 점은 그리 중요치 않을 수도 있다. 적자인지 아닌지만 가볍게 확인하고 주식투자를 할 것이다. 하지만 장기 투자자라면 재무제표는 꼭 체크해보아야 한다. 매출은 늘고 있는지 현금보유액은 넉넉한지 부채는 어느 정도인지 발전할 기업인지 등을 재무제표를 통해서 알아볼 수 있어야 주식에 장기투자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