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상에서 버블이라 하면 제일 먼저 튤립 버블을 떠올리곤 하지요. 정확히 튤립 버블이 무엇인지 한번 간단히 정리해볼까 합니다.
튤립 버블이란 무엇일까요?
네덜란드 튤립 버블
튤립 버블이란 17세기 네덜란드에서 발생한 튤립에 대한 과열 투기 현상으로 역사상 최초의 자본주의적 투기현상을 말하는 대표적이 예가 되었습니다. 당시 네덜란드는 1인당 국민소득이 유럽에서 가장 높은 나라였답니다. 그러다 보니 개인들의 부 과시욕이 생기고 튤립을 그 과시욕에 이용하면서 과열 투기 현상이 일어났습니다.
튤립 시장은 당시 전문가와 생산자 중심으로 거래가 되고 있었는데 귀족들과 신흥부자들 사이에서 튤립 투기 수요가 갑자기 증가하면서 튤립 가격이 1개월 만에 50배나 올라가는 일이 생겼습니다. 경매장에서 튤립 구근을 증서처럼 판매했는데 그 가격이 상상을 초월했다고 합니다. 그중 변종 튤립은 희귀성으로 해서 가격이 높게 책정되었습니다.
선물계약 방식으로 이중, 삼중 거래가 되기도 하고 실제 거래는 없이 가격만 상승하다보니 구매심리가 하락하게 되는데 마침 법원에서도 "튤립의 재산적 가치를 인정할 수 없다"라는 판결이 내려지면서 튤립 버블은 순식간에 꺼지면서 최고치 대비 수천 분의 1 수준으로 가격이 폭락합니다. 그 이후 파산자가 속출하여 네덜란드 정부에서 거래액의 5~10%만 지불하는 것으로 수습이 되게 됩니다.
튤립 버블과 코인 버블
튤립 버블은 IT 거품이나 부동산 거품 등이 부각될 때 거품의 역사적 예로 많이 말해지고 있습니다. 지금 시대는 코인이 튤립과 비슷한 현상을 보이는게 아닐까 합니다. 비트코인이 법정화폐로 인정받는다면 혁신적인 금융개혁이 되겠지만 여기서 무너진다면 튤립 버블과 같이 되지 않을까 걱정이 되는 부분이지요.
세계 제3대 코인거래소였던 FTX의 파산으로 코인 시장이 많이 흔들리고 있습니다. 버블이 터지는 단초가 아니라 코인 시장이 더 단단히 구축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