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들도 다 각자의 MBTI를 다 알고 계시죠? 요즘은 만나면 MBTI를 물어보고 상대의 성격을 파악하는 것이 유행이더라고요 그런데 어느 정도 맞는 부분이 많아서 신기하고 재미있답니다. 오늘은 MBTI 중에서 S와 N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볼까 해요.
MBTI 유형분석
우리나라의 경우 MBTI에서 S가 80% N은 20%라고 하네요 대부분이 S라는 말인 거죠. 우리나라 인구 25%가 ISTJ, 15%가 ESTJ, 9%가 ISTP라고 하는데 그만큼 N은 소수에 속합니다
MBTI 유형은 에너지 방향, 인식 기능, 판단 기능, 생활양식에 따라 나누는데 S와 N은 인식 기능의 차이에서 나타납니다
즉 정보를 어떤 식으로 느끼고 받아들이는가에 따라 S와 N으로 나누는 것이지요
MBTI에서 S와 N의 차이
S (Sensing)는 감각형 , N (iNtuition) 은 직관형을 말합니다.
S유형의 경우는 현실적인 면에 초점을 두는 경우가 많고 자신이 경험하고 느끼고 인식한 것을 기초로 감각을 사용합니다
그래서 S는 숲보다는 나무를 먼저 보는 경향이 있는데 육감이나 느낌이 아니라 현실적인 지표를 통해서 미래를 예측하는 것을 더 선호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직관적인 지표들과 정보들로 인해서 형태를 추론하고 이해하고 관찰하는 것에 능하고 N보다 더 꼼꼼하고 치밀한 성격을 가집니다. 질문이나 답변에 있어서도 사실적이고 정확하게 객관적인 이유를 들어서 설명하고 이해하는 걸 좋아합니다
반면에 N 유형은 체험을 통한 정보 습득보다는 상상이나 육감에 의존하는 경향이 높습니다. 그래서 창의적이고 창조적인 아이디어 생산이 가능하고 행동보다는 묘사와 비유적인 이야기를 더 잘한다고 해요. 생각이 많기 때문에 생각하고 상상하는 것을 좋아하며 아이디어가 많아서 당장 현실적인 문제보다는 미래와 가능성에 관심을 더 가지며 새로운 것이나 색다른 것을 선호합니다.
사례로 보는 S와 N의 차이
영화를 관람할 때
S 형 - 영화의 디테일, 배우, 소품, 상세한 줄거리에 초점을 둔다
N 형 - 영화 자체의 메시지, 교훈, 의미, 상징, 비 유등에 관심을 둔다.
비행기를 탈 때 하는 걱정거리
S 형 - 비행기가 추락하면 어쩌지? 추락한다면 바다 위면 좋겠다. 그나마 수영을 할 수 있으니... 꼬리에 꼬리를 무는 성격
N 형 - 창가 자리면 좋을 텐데... 기내식이 맛없다했는데 간식 가져올 걸 그랬나...
사과하면 떠오르는 것은?
S 형 - 빨갛다, 둥글다, 새콤달콤, 맛있다
N 형 - 백설공주, 비타민C, 애플
S형들은 상상을 한다 해도 현실적으로 이뤄질 수 있는 것을 상상하는 반면 N형들은 정말 생각지도 못하는 걸 상상하지요. 예를 들어 S형들은 대학에 입학한 나, 직장인으로 잘 다니고 있는 나, 결혼한 내 모습 등등을 생각한다면 N형들은 마피아가 되어 총싸움을 하거나 초능력을 가진 히어로가 되거나 세계 최고 기관의 비밀요원이 되거나 뭐 이런 걸 주로 상상한다고 하네요. 여기서 재미있는 포인트는 서로가 서로에게 이런 상상들 보통 하는 거 아니냐고 놀라워하는 모습을 보인다는 거죠. 남들도 다 나처럼 이런 상상하는 줄 알고 사는 거죠.
지금까지 MBTI에서 S와 N의 차이에 대해 얘기해 봤어요. 차이를 알게 되면 상대방을 이해하는데 더 도움이 되겠죠?
글을 쓰면서 저를 돌이켜 보면 전 확실히 N형이네요. 저런 무지막지한 상상을 하는 걸 좋아하거든요.
여러분은 S인가요? N인가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