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을 하든 안 하든 골든크로스나 데드크로스라는 말은 들어봤을 것이다. 딱 어감상만으로도 골든크로스는 상승의 느낌이 데드크로스는 하락의 느낌이 난다는 걸 알아챌 수 있다. 차트상에서는 어떤 것을 골든크로스, 데드크로스라고 하는 건지 또 그런 크로스가 나오면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 건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주식에서 골든크로스와 데드크로스는 무엇일까?
이동평균선
우선 주식 차트를 보기 위해서는 이동평균선을 알아야 한다. 이동평균선은 일정 기간 동안의 주가를 평균한 값인 주가 이동평균을 차례대로 연결해 만든 선을 말한다. 설정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만들 수 있는데 가장 기초적으로는 단기 (5일, 10일, 20일) 중기 (60일) 장기(120일, 240일) 정도로 나눠볼 수 있다.
5일선은 5일동안의 주가(종가 기준)를 합산한 뒤 5로 나눈 값을 하나의 선으로 연결한 것으로 일주일간의 평균선이라 보면 되고 20일선은 한 달간의 주가 평균선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대부분 20일 이동평균선을 중요시 여기며 생명선이라고도 불릴 정도로 중요한 선이 된다.
설정으로 자신이 바꿀수도 있지만 여기 삼성전자는 5일선은 초록색 20일선은 빨간색 60일선은 주황색 120일선은 보라색으로 설정되어 있다.
골든크로스란?
골든 크로스는 주가나 거래량의 단기 이동평균선이 중장기 이동평균선을 아래에서 위로 돌파해 올라가는 현상을 말한다. 강력한 강세장으로 전환되는 시점으로 여기게 된다.
골든크로스도 단기 중기 장기 골든크로스로 나눠 볼 수 있다.
단기 골든 크로스 : 5일 이동평균선이 20일 이동평균선을 상향 돌파하는 것.
즉 5일 이동평균선이 20일 이동평균선을 넘어서는 현상
중기 골든 크로스 : 20일 이동평균선이 60일 이동평균선을 상향 돌파하는 것
장기 골든 크로스 : 60일 이동평균선이 120일 이동평균선을 넘어서는 것
그런데 여기서 주의할점은 5일 이동평균선만으로는 앞으로 상승추세가 될 것이라고 해석하는 것은 좀 무리이고 보통 5일선과 20일선이 60일선을 뚫고 또 120일 선까지도 뚫으면 추세적으로 상승세라고 판단하곤 한다. 이때 거래량 또한 많이 터진다면 강세장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더 높아지는 것이다.
데드크로스란?
골든크로스의 반대개념이 데드크로스로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 평균선 밑으로 떨어지는 현상을 말하며 하락장이나 약세장이 펼쳐진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위의 사진처럼 5일 20일 이동평균선이 60일 120일 이동평균선을 상회하며 움직이다가 먼저 60일 밑으로 고개를 떨구고이어서 5일선 20일선이 차례로 120일선 아래로 꺾이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처럼 상승추세에 있던 주가가 하락 추세에 접어들면서 데드크로스가 발생한다.
이처럼 골든크로스와 데드크로스는 각각 강세와 약세 추이를 예측하는 수단으로 여겨지긴 하지만 골든크로스가 일어났다고 해서 무조건 상승장이 이어지는 것도 아니고 데드크로스가 있었다고 해서 무조건 하락장이 지속되는 것은 아니다. 각각 변수가 있을 수 있고 수시로 단기 이동평균선이 중장기 이동평균선을 넘었다가 내려오는 일이 발생한다. 모든 추세지표는 다 후행성이기 때문에 차트 분석하는 여러 가지 조건중 하나라고 참고해야 할 것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