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주식, 재테크

서브프라임 모기지사태란?

by kuchiwuchi 2023. 5. 12.
반응형

리먼브라더스와 서브프라임사태에 대해 많이 거론되는데 정확히 어떤 일이 일어난 거였는지 정리해보고자 한다.

 

서브프라임이란? 모기지란?

서브프라임 모기지란 한마디로 미국의 주택담보대출 신용등급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1~9등급의 신용등급체계를 가지고 있다 신용이 좋으면 좋을수록 숫자가 작아져 1등급이 신용등급이 가장 좋다는 걸 뜻한다. 신용등급이 높으면 높을수록 은행에서 대출이자도 훨씬 낮게 책정해 주고 신용등급이 낮은 사람들(7~9등급)은 은행에서 대출을 꺼려하고 금리도 높게 책정된다. 상환을 못 받을 것을 계산해서 높은 금리를 책정하는 것이다

 

미국의 주택담보대출시 신용등급 체계는 다음과 같다

 1. 프라임 (Prime) : 확실한 수입과 확실한 재산이 있는 등급, 회수율이 높지만 대상 고객은 적음

 2. 알트 - A (Alternative -A) : Prime보다 채무불이행 위험도가 높지만 어느 정도 상환능력이 있는 등급

 3. 서브프라임 (Sub-prime) : 일반적으로 소득이 낮거나 금융거래기록이 없는 저신용자 (신용점수 620점 이하)인 등급

    프라임보다 2~4% 가량 대출금리가 높다

 

모기지는 영어로 mortgage '주택담보대출'이라는 뜻이다. 그래서 서브프라임 모기지란 '신용등급이 낮은 사람들에게 주는 주택담보대출"을 말한다.

 

2000년도 초반부터 미국에서 서브프라임모기지가 성행했다. 그 당시 미국은 IT버블 붕괴와 911 테러, 이라크 전쟁 등 경기가 침체된 상태였고 경기부양책으로 초저금리 정책을 시작했다. 그러니 미국의 부동산 가격이 상승하며 금융회사들이 엄청나게 주택 관련 투자상품을 내놓기 시작하는데 처음에는 프라임 층만 대상으로 하다가 서브프라임까지 대출고객층을 늘리기 시작한다. 부동산 가격이 상승하고 있었기 때문에 원금손실의 우려가 없다고 판단해서 별다른 서류심사도 없이 사람들에게 돈을 무차별적으로 빌려주기 시작한다.  그리고 2004년 미국의 연방준비제도는 저금리 정책을 종료한다는 발표를 하고 부동산 시장의 거품이 순식간에 꺼지기 시작한 것이다. 은행은 대출자로부터 원리금을 받지 못하고 당시 세계 4위의 투자회사였던 리먼브라더스가 파산하게 된 것이다. 갑작스러운 대형 금융사의 파산과 동시에 주식시장에서도 천문학적인 돈이 증발하게 되고 미국의 경제에 크게 의존했던 다른 국가들도 경제가 침체됨에 따라 우리나라도 당시 코스피지수가 몇 달 사이에 고점 대비 60% 이상 폭락하게 된다

 

이 같은 일련의 사태들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혹은 2008년 세계 금융위기라고 부르고 있다.

 

사람들이 지금의 경제상황을 왜 2008년 때와 비슷하다고 하는지 알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