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주식, 재테크

여키스-도슨 법칙과 골디락스 법칙

by kuchiwuchi 2023. 7. 8.
반응형

공부나 운동을 할 때 연습을 하다 보면 어떤 순간에 이르게 되지요 그때 계속하느냐 포기하느냐가 성공하는지 못하는지의 갈림길이 될 것입니다.  올바른 공부법이나 좋은 습관을 들이기를 생각하다 보니 여키스-도슨 법칙과 골디락스 법칙을 알게 되었는데요 오늘은 이 두 가지 법칙을 정리해볼까 합니다

 

여키스-도슨 법칙과 골디락스 법칙

 

여키스-도슨 법칙

여키스와 도슨은 각성 수준과 수행 수준 사이에는 어떤 연관성이 있다고 생각해서 "거꾸로 된 U형 함수관계" 를 제시합니다

즉 그래프에서 수행단계는 각성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지만 특정 지점 즉 거꾸로 된 U자 꼭대기 지점까지만 증가하고 그 이후에는 감소하는 형태를 보여준다는 이론입니다. 

중요한 시험을 앞두고 부담감이 지나치면 효율적인 정보처리를 할 수 없게 되어 알고 있던 문제도 제대로 답하지 못하는 불안상태에 처하게 됩니다. 또한 지나치게 낮은 각성 수준에서는 감각 박탈 상태가 되어 졸음이 오고 집중력이 떨어져 시험에 실패하게 됩니다. 그래서 가장 효과적인 상태인 중간 최적 수준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수행의 효율성은 과제의 특성이 어떤가에 따라서 달라집니다. 즉 개인의 각성이 과제의 난이도에 적합할 때 과제 수행 효율성이 제일 좋게 되는 것입니다. 간단한 과제의 경우에는 각성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을 때 수행 효율성이 최대가 되고 중간 정도의 난이도인 경우에는 각성 수준이 중간일 때 수행이 최고치에 달하는 것입니다. 복잡하거나 어려운 과제의 경우에는 오히려 각성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을 때 그 효율성이 최대가 됩니다

 

골디락스 법칙

골디락스 법칙

심리학 연구에서 여키스-도슨 법칙으로 알려져 있는데 그것이 행동경제학쪽에서는 골디락스 법칙이라고 불립니다

도전이 관리할 수 있을 정도로만 어려울 때 동기가 최대가 된다라는 이론입니다

지루함과 분노 사이의 중간 지점에서 최고 수준의 각성이 일어난다는 것이지요. 

자신이 할 수 있는 최고의 동기부여가 되는 일을 찾고 싶다면 이 이론으로 찾아보세요

나에게 지나치게 어려워도 안되고 또 지나치게 쉬워도 안되며 조금 어렵지만 관리 가능한 수준일 때 이 골디락스 존으로 갈 수 있습니다.

정교하고 복잡한 일이나 고도의 집중력을 요하는 일을 계속하다 보면 눈을 감고도 자동적으로 몸이 행하게 되는 경우가 있지요 바로 진정한 전문가의 단계입니다.  골디락스 존의 상태를 묵묵히 유지하는 것이 바로 실력이 좋아지고 그 분야의 대가가 되는 길인 것이지요. 무엇이든 끈기 있게 참아야 되나 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