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주식, 재테크

인플레이션은 실질적으로는 세금이다???

by kuchiwuchi 2023. 5. 28.
반응형

EBS 교양에서 클래스 e , 신환종- 인플레이션의 역사라는 강의에서  인플레이션에 대한 설명이 참 잘 되어 있어서 발췌해본다. 실질금리와 명목금리 그리고 세금에 대한 이해를 쉽게 할  수 있다.

 

인플레이션은 실질적으로 세금이다?

 

1억을 예금, 채권에 투자했을 때

명목금리, 실질금리, 세금

출처 = EBS CULTURE&LIFE

 

실질금리는 명목상 금리에서 인플레이션 분을 빼야 계산이 된다

 

실질금리 = 명목금리 - 인플레이션

 

1번 케이스는 명목금리가 1% 물가상승률은 2%이므로 실질금리가 마이너스가 되었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세금을 떼게 된다. 2번 케이스는 실질금리 0% 이 경우도 세금을 떼게 되어 실제로는 마이너스이다.3번 케이스와 5번케이스까지 보면 실질 금리는 2%로 동일하다. 하지만 명목금리율에서 세금을 떼기 때문에  실질금리가 동일한 겨우라도 3번의 경우가 제일 좋다는 것이다명목금리가 커지면 이자수익도 커지고 세금도 같이 커지는 것이다. 우리는 명목금리가 5%나 6% 올랐다고 생각해서 좋아하지만 실제로는 세금을 더 많이 내기 때문에 실제로 나에게 들어오는 수익은 적어지는 것이다. 이런 것을 '화폐 착각'이라고 한다. 돈에 대한 실질 가치가 아닌 명목 가치를 기초로 판단하는 현상을 일컫는다.투자자들은 세금에 대한 생각도 하고 있어야 한다인플레이션이라는 것은  1억원 현금이 있다면 현재 1억 원짜리 물건을 살 수 있는데 물가상승률이 5%라면 실제로 1년 후에는  1억이 아니고 9,500만 원짜리 가치가 되는 것이다.

이런 식으로 정부는 재정 적자를 메우기 위해서 화폐를 찍고 그 결과 인플레이션을 일으킴으로써 정부가 국민에게 일종의 "인플레이션 세금"을 부과한다고 보는 게 맞다.

실질적으로 인플레이션은 우리가 인식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내게 되는 일종의 세금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