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주식, 재테크

주식 레버리지는 어떤 경우에 고려해 볼 수 있을까?

by kuchiwuchi 2023. 3. 10.
반응형

모두들 버블 붕괴를 외치고 있는 지금 도대체 난 어떻게 해야 하는 건지 감을 잡을 수 없다. 그래서 준비를 하고 있다가 이런 신호가 나오면 이런 일을 해야지 하고 상황을 정리해볼까 한다.

 

이런 시그널이 나오면 주식 레버리지를 생각해 볼 수 있다

 

금리가 오를수록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도가 올라가고 위험자산인 주식은 매력도가 떨어지게 된다.

과거 주식시장의 위기는 시장에 과도한 유동성으로 인해 버블이 생겼고 연준에는 그 유동성을 잡기 위해서 금리를 인상하면서 그 당시 가장 취약한 자산에서 버블이 터졌다.

 

과거 2000년 초엔 금리가 6% 이상 하던 시절도 있었는데 지금 겨우 2%,3% 금리를 올린다고 큰 문제가 생기겠냐고 생각할 수도 있다

 

과거에 금리가 5%에서 6%로 올라갔을 때는 20% 오른 것이지만 현재 금리가 1%에서 2%로 올라가는 것은 100% 인상된다는 것이다. 금리의 상승폭만큼 위험자산인 주식시장은 더 리스크가 많아지는 것이다.

 

연준이 그동안 시장에 공 굽 했던 유동성이 과거와는 비교도 안될 만큼 많았다. 그래서 지금까지 볼 수 없었던 수요가 폭발했고 인플레이션이 무려 40여 년 만에 코앞에 닥쳤다

 

금리가 올라가면 PER가 낮아지면서 실적이 없던 밈주식들이 등장하기 시작하고 다른 기업들의 벨루에이션도 정상화되어 살만한 주식들이 많이 보이게 된다. 그동안은 성장성을 주로 보며 주식을 매수했다면 지금은 성장성과 벨루에이션 둘 다 보면서 사야 하는 시기이다. 금리가 계속 높아질 것이기 때문이다.

 

모든 버블은 금리가 올라갈 때 터졌다.

 

현재 시장은 역금융장세에서 역실적장세로 넘어가고 있다. 레버리지를 무조건 줄여야 한다.

 

레버리지 포지션을 생각해 볼 때는 다음과 같다

FOMC 연준에서 기준금리를 다시 공격적으로 내릴 때
연준에서 양적완화를 재개할 때
연준이 회사채를 무제한 매입할 때
한미 통화스와프를 체결했을 때

 

반응형

댓글